[1과목-1장-004] 현행 시스템 파악
목차
새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개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파악해야 할 것들
[1단계]
1. 시스템 구성 파악
기간 업무(조직의 주요 업무 담당) / 지원 업무 로 구분하여 기술.
- 각 업무에 속하는 단위 업무 정보시스템들의 명칭, 주요 기능들을 명시
2. 시스템 기능 파악
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
주요 기능 / 하부 기능 / 세부 기능 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
3.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
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
주고받는 데이터 종류 / 형식 / 프로토콜 / 연계 유형 / 주기 등을 명시
- 데이터 형식, 통신규약, 연계유형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
[2단계]
1. 아키텍처 구성 파악
기간 업무 수행에 어떤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한 아키텍처 구성도로 작성
- 아키텍처가 단위 업무 시스템별로 다른 경우, 가장 핵심인 기간 업무 처리 시스템을 기준으로 표현
** 시스템 아키텍처: 시스템 내부에서 각각의 하위 시스템들이 어떤 관계로 상호 작용하는지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이나 동작 원리를 표현한 것
2.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
단위 업무 시스템별로 업무 처리를 위해 설치돼 있는
소프트웨어들의 제품명 / 용도 / 라이선스 적용 방식 / 라이선스 수 등을 명시
- 시스템 구축비용 면에서 SW 비용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
> 상용 SW의 경우) 라이선스 적용 방식의 기준 / 보유한 라이선스의 파악 이 중요
[3단계]
1. 하드웨어 구성 파악
단위 업무 시스템들이 운용되는
서버의 주요 사양과 수량 / 이중화의 적용 여부 를 명시
- 서버의 이중화) 기간 업무의 서비스 기간 / 장애 대응 정책 에 따라 필요 여부가 결정
- 현행 시스템에 이중화 적용된 경우) 새로 구성될 시스템에도 이중화가 필요할 것
> 비용 증가, 시스템 구축 난이도 상승 가능성 고려해야 함
** 서버의 이중화: 운용 서버의 장애 시 대기 서버로 서비스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, 운용 서버의 자료 변경이 예비 서버에도 동일하게 복제되도록 관리하는 것
2. 네트워크 구성 파악
업무 시스템들의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
서버의 위치 / 서버 간 네트워크 연결 방식 을 네트워크 구성도로 작성
- 서버의 물리적 위치 관계 파악 가능, 보안 취약성 분석 가능
- 네트워크 장애 발생 경우) 원인 찾아 복구 용도로 활용 가능
'정보처리기사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과목-1장-006] 요구사항 정의 (0) | 2020.03.20 |
---|---|
[1과목-1장-005] 개발 기술 환경 파악 (0) | 2020.03.20 |
[1과목-1장-003] XP(eXtreme Programming) 기법 (0) | 2020.03.17 |
[1과목-1장-002] 스크럼(Scrum) 기법 (0) | 2020.03.17 |
[1과목-1장-001]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(2) | 2020.03.17 |
댓글